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Algorithm] 프로그래머스 - 여행경로 (bfs || dfs - 너비 || 깊이 우선탐색)
    Alogorithm 2020. 5. 29. 16:22
    반응형

    ++ 광고 클릭은 블로그를 계속 운영할 수 있는 꿈과 희망 그리고 사랑이 됩니다...

     

    프로그래머스 문제입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항공권을 모두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짜려고 합니다. 항상 ICN 공항에서 출발합니다.

    항공권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ticket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방문하는 공항 경로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모든 공항은 알파벳 대문자 3글자로 이루어집니다.
    • 주어진 공항 수는 3개 이상 10,000개 이하입니다.
    • tickets의 각 행 [a, b]는 a 공항에서 b 공항으로 가는 항공권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 주어진 항공권은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 만일 가능한 경로가 2개 이상일 경우 알파벳 순서가 앞서는 경로를 return 합니다.
    • 모든 도시를 방문할 수 없는 경우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입출력 

     

    테스트케이스 추가

     

    tickets: [["ICN", "COO"], ["ICN", "BOO"], ["COO", "ICN"], ["BOO", "DOO"]]

    return: ["ICN", "COO", "ICN", "BOO", "DOO"]


    입출력 설명

    예제 #1

    [ICN, JFK, HND, IAD] 순으로 방문할 수 있습니다.

     

    예제 #2

    [ICN, SFO, ATL, ICN, ATL, SFO] 순으로 방문할 수도 있지만 [ICN, ATL, ICN, SFO, ATL, SFO] 가 알파벳 순으로 앞섭니다.

     

    예제 #3

     ["ICN", "BOO"] 순으로 방문하게 되면 모든 티켓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다음 항목인 ["ICN", "COO"]로 탐색합니다.


    문제풀이

    function solution(tickets) {
        var answer = []
        // (1)
        tickets.sort()
        let done = false
        dfs('ICN', tickets, [])
        
        function dfs(departure, remain, route) {
        	// (2)
            if (done) return
            // (3)
            const possibleTickets = remain.filter(item => item[0] === departure)
            // (4)
            possibleTickets.forEach(possibleTkt => {
                // (5)
                let tmp_remain = Array.from(remain)
                let tmp_route = Array.from(route)
                // (6)
                const idx = tmp_remain.findIndex(item => item === possibleTkt)
                tmp_remain.splice(idx, 1)
                // (7)
                if (tmp_route.length === tickets.length - 1) {
                    tmp_route = tmp_route.concat(possibleTkt)
                    done = true
                    answer = tmp_route
                 } else {
                // (8)
                     tmp_route.push(possibleTkt[0])
                     dfs(possibleTkt[1], tmp_remain, tmp_route) 
                 }
             })
        } 
        
        return answer
    }

     

     

    idea: dfs를 하기 위해서 재귀함수를 사용합니다. 

     

    1. 알파벳순으로 sort합니다. 

      ** "만일 가능한 경로가 2개 이상일 경우 알파벳 순서가 앞서는 경로를 return 합니다." 조건을 지키기 위해!

    2.  모두 순회했을 경우(done) return합니다.

    3. 가능한 티켓을 departure을 기준으로 필터링합니다.

      ** 1의 과정에서 소팅해두었기 때문에 알파벳 순을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4. 가능한 티켓마다 Loop을 돌리면서 깊이 탐색 준비를 합니다.

      ** 테스트케이스 3처럼, 알파벳순으로 탐색해도 모든 티켓을 쓰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주어진 항공권은 모두 사용해야 합니다." 조건을 지키기 위해!

    5. 가능한 티켓의 경우마다 남은 배열과 여행 route를 배열 copy를 통해 선언해줍니다.

       ** copy하지 않을 경우 같은 메모리 주소를 사용하게 되면서 원하지 않던 방향으로 돌아갑니다.

    6. 남은 티켓들 중 가능한 티켓의 인덱스를 찾아 빼줍니다.

    7. route의 크기가 티켓 크기 보다 하나 작을 때는 마지막 티켓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에 남은 여정을 그대로 concat 해주고 done을 true로 변경해줍니다. 그리고나서 answer로 값 변경!

    8. 7의 조건이 아닐 경우는, 아직 티켓이 남아서 깊이 탐색을 진행해야함을 의미합니다.

      departure(출발지)를 route에 넣어주고 다시 dfs 재귀함수를 부릅니다.

      ** possibleTkt[0] ~> 출발지, possibleTkt[1] ~> 도착지

    그리고 return!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