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서 일하다 보니, 어느덧 6년차 개발자가 되었습니다. 프론트, 프로트콜, 백엔드, 경험 등 여러가지를 다루어보려고 합니다!

Today
Yesterday
Total
  • [Algorithm] 프로그래머스 - N으로 표현 (동적계획법)
    Alogorithm 2021. 3. 13. 21:52
    반응형

     

     

     

    프로그래머스 문제입니다.

    [문제설명]

    아래와 같이 5와 사칙연산만으로 12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12 = 5 + 5 + (5 / 5) + (5 / 5)
    12 = 55 / 5 + 5 / 5
    12 = (55 + 5) / 5

    5를 사용한 횟수는 각각 6,5,4 입니다. 그리고 이중 가장 작은 경우는 4입니다.
    이처럼 숫자 N과 number가 주어질 때, N과 사칙연산만 사용해서 표현 할 수 있는 방법 중 N 사용횟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하세요.

     


    [제한사항]

     

     

     

    • N은 1 이상 9 이하입니다.
    • number는 1 이상 32,000 이하입니다.
    • 수식에는 괄호와 사칙연산만 가능하며 나누기 연산에서 나머지는 무시합니다.
    • 최솟값이 8보다 크면 -1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입출력 예시]

    예제 #1
    문제에 나온 예와 같습니다.

    예제 #2
    11 = 22 / 2와 같이 2를 3번만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문제풀이]

    function solution(N, number) {
        /** (1)
            Initialize the cacluation set for all possilbe answers(n<=8)
            A set in each index will be calculation cases returning answer
        **/
        
        let calcSet =  new Array(8).fill().map(() => new Set());
        /** (2)
            Loop1 will navigate and check answer from 1 to 8
        **/
        Loop1: for (let i=0; i<8; i++) {
            /** (3)
                1. Add a consecutive N
                    i.e) N, NN, NNN, ... NNNNNNNN
                2. Loop2 will be a sub loop to calcuate each possible set
                    i.e) set[j] and set[i-j-1]
                    it means subset cases also can be calculated
            **/ 
            calcSet[i].add(parseInt(N.toString().repeat(i+1)))
            Loop2: for (let j=0; j<i; j++) {
                for (const arg1 of calcSet[j]) {
                    for (const arg2 of calcSet[i-j-1]) {
                    /** (4)
                        4 calculation cases 
                    **/ 
                        calcSet[i].add(arg1+arg2)
                        calcSet[i].add(arg1-arg2)
                        calcSet[i].add(arg1*arg2)
                        calcSet[i].add(arg1/arg2)
                    }
                }
            }
            if(calcSet[i].has(number)) return i+1;
        }
        return -1
    };

    동적계획법(Dynamaic programming)을 풀 때마다 느끼지만, 특히 이 유형의 문제 풀이는 여러가지 케이스를 리스팅한 후에 알고리즘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Idea:

    - 8을 초과하는 answer는 -1을 리턴하므로 답은 1부터 8 사이에 있다.

    - Javascript에서 set을 사용하면 중복되는 값을 filter할 수 있다. (실무에서는 썩 사용하지 않았던 것 같음...)

    - * N을 consecutive(연속적)하게 사용하는 case(N, NN, NNN, NNNN, ....) 를 미리 초기화한 후, 사칙연산을 사용할 경우 계산하기 더 편하다.

    - ** answer이 5일 경우 N을 2개 쓰는 경우와 3개 쓰는 경우의 subset, 1개 쓰는 경우와 4개 쓰는 경우의 subset 등... 다양한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Tip:

    - String prototype의 repeat() 함수의 사용을 왜 이제야 알게되었는가...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