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roup Study,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1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Front-end/Javascript 2022. 10. 26. 00:29반응형
Group study background
나만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실무를 하다보면 잊어버리는 개념들이 있다.
가끔 FE 뉴비나 novice인분들에게 질문을 받는데, 아리송 할때만큼 쪽팔릴때가 없었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라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셨지만 반복 학습의 힘을 믿는다. React 오픈카톡방에서 모집한 스터디원분들과 함께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1권 톺아보기를 시작한다!
정보 전달용이 아닌 개인 스터디 레코딩용 포스트입니다.
11. 0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의 다른 점
- 원시 타입의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immutable value)이지만, 객체(참조)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mutable value) 값이다.
-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실제 값이 저장되지만,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참조 값이 저장된다.
-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값에 의한 전달- pass by value). 이에 비해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참조에 의한 전달- pass by reference)
11. 1 원시 값
11.1.1 변경 불가능한 값
11.0에서 정리한 것처럼 원시 타입의 값,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읽기 전용)이다.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된 메모리 공간 또는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값은 이 변수에 저장된 데이터로써 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이다. 따라서 변경 불가능하다는 것은 "값"을 의미한다.
즉 원시 값 자체를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변수는 재할당을 통해 변수 값을 변경(교체)할 수 있다.
[예제 11-01] 상수 선언을 하였지만 객체는 변경 가능한 경우
const o = {} o.a = 1
case1: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에 새로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재할당 이전의 원시 값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원시 값을 저장한 후, 변수는 새롭게 재할당한 원시 값을 가리킨다. 이때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가 바뀐다.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는 GC가...)
즉, 변수 값을 변경하기 위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값을 저장한 후,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변경(불변성)
[그림 11-01]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 (Reference: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11.1.2 문자열과 불변성
문자열의 한 문자를 변경은 유사 배열 객체이면서 iterable로 배열과 유사하게 각 문자에 접근 가능하다.
문자열은 유사 배열이므로 배열과 유사하게 인덱스를 사용해 각 문자에 접근할 수 있지만, 원시 값이므로 변경할 수 없다.
필요하다면 새로운 문자열을 재할당해야한다.
[예제 11-02] 문자열
var str = 'string' str[0] = 'S'
11.1.3 값에 의한 전달
변수에 언시 값을 갖는 변수를 할당하면 할당받는(copy) 변수에는 할당되는 변수(score)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같은 원시 숫자 값(80)을 갖지만, 각 값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다.
[예제 11-03] 값에 의한 전달
var score = 80 var copy = score score = 100;
"값에 의한 전달"?? 엄밀히 보면 변수에는 값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가 전달된다. 식별자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어떤 값을 구별해서 식별해낼 수 잇어야 하므로 변수와 같은 식별자는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한다.
따라서 "값에 의한 전달"도 사실 값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전달한다. 단 전달된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값을 참조할 수 있다.
[그림 11-02] 값에 의해 전달된 값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다.(Reference: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11. 2 객체
11.2.0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관리 방식
[그림 11-03]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관리 방식(Reference: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11.2.1 변경 가능한 값
객체(참조) 타입의 값은 변경 가능한 값이다.
객체를 할당한 변수가 기억하는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참조 값(reference value)에 접근할 수 있다.
[예제 11-04]
var person = { name: 'Daniel' }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를 참조하몀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원시 값에 접근한다. 하지만 객체를 할당한 변수를 참조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값을 통해 실제 객체에 접근한다.
[그림 11-04] 객체의 할당 (Reference: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므로 재할당 외에는 값을 변경 할 수 없다. 하지만 객체는 재할당 없이 객체를 직접 변경할 수 있다. 즉 재할당 없이 프로퍼티를 동적으로 추가할 수도 있고 플퍼티 값을 갱신, 삭제 할수도 있다.
[예제 11-05]
var person = { name: 'Daniel' } // 값 갱신 person.name = 'Park' // 프로퍼티 동적 생성 person.address = 'Seoul'
객체를 변경할때 마다 새로 생성한다면 명확하고 신뢰성이 확보되겠지만, 객체의 크기가 매우~~매우 매우 크다면? 또는 프로퍼티 값이 객체일 수도 있어서 depp copy 비용이 아주 많이 든다. 이 경우 메모리의 효율적 소비가 어렵고 성능이 나빠진다.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그리고 객체를 복사해 생성하는 비용을 절약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으로 설계되어 있다. 메모리 사용의 효율성과 성능을 위해 어느 정도의 구조적인 단점을 감안한 설계이다.
[그림 11-05]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 (Reference: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11.2.2 참조에 의한 전달
[예제 11-06]
var person = { name: 'Daniel' } // shallow copy var copy = person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원본, person)을 다른 변수(사본, copy)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즉, 원본 person과 사본 copy 모두 동일한 객체를 가리킨다. 두 개의 식별자가 하나의 객체를 공유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따라서 원본 또는 사본 중 어느 한쪽에서 객체를 변경하면 서로 영향을 주고받게 되는데 실무에서 흔히 하는 실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림 11-06] 참조에 의한 전달 (Reference: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고민해볼만한 부분
책의 의견: "값에 의한 전달"과 "참조에 의한 전달"은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복사해서 전달한다는 면에서 동일하다. 다만 식별자가 기억하는 메모리 공간, 즉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원시 값이냐 참조 값이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참조에 의한 전달"은 존재하지 않고 "값에 의한 전달"만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반응형'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oup Study,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3 스코프란 (0) 2022.10.26 [Group Study,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2 함수 (0) 2022.10.26 [Group Study,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 10 객체 리터럴 (0) 2022.10.25 [Javascript] ES12 ES2021? (0) 2020.12.08 [Javascript] 쓰로틀링, 디바운싱(throttling, debouncing)? (0) 2020.07.26